서비스 소개

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

매출 증대

비용 절감

투자·고용 확대

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 발생

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 발생 그래프

과제 수행을 통해 양산 준비단계에 돌입한 기업은 33.3%,
제품 출시 단계에 돌입한 기업은 30.8%로
수혜기업 중 60% 이상이 사업화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12.28억원

제품 출시를 통해 발생한 평균 매출액은 12.28억원 (16년~20년
사업비 10억원 당 30.8억원)으로, 산업기술 R&D 출연금 10억원 당
평균 매출액 14.4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.

출처: 산업기술 R&D의 경제사회적 효과분석 및 제고 방안(2019), 과학기술정책연구원

공정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

과제 수행을 통해 공정개선을 진행한 기업들의 경우 다음과 같은
비용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금액 절감
불량률 감소 (19% → 5%)로 인한 클레임 금액 (월 500만원 → 월 90만원) 절감
인건비 절감
납품 시간 단축 (연 17.2일 단축)을 통한 인건비 절감
원가 절감
금형 수 감소 (2벌 → 1벌)로 인한 생산 공정 간소화 및 원가 절감 (약 5%)
불량률 개선
시뮬레이션을 통한 부품 주조조건 최적화로 불량률 개선 (8.6% → 2.6%) 제조비용 연 약 1억 3천만원 감소

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

추가투자 진행 2.46억원
외부 투자 계약 체결 1.14억원
사업 참여 후 신규 고용인력 2.1
투자 확대
  •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 참여 이후 추가 투자를 진행한 기업의 비중은 54.9%로 국내 제조산업의 투자 증진에 기여하였습니다.
  •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 참여 이후 본 사업과 관련하여 발생한 평균 추가 투자액은 2.46억원이며, 이중 외부 투자금액은 1.14억원으로 나타나,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이 향후 자금조달 및 지속적인 투자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고용 창출
  • 소프트파워 서비스 활용지원 참여 후 신규 고용한 누적 인력은 2.1명으로 나타났습니다.
  • 지원금액 1억원 당 신규 고용 인원은 2.23명으로 나타나, 중소기업 R&D 지원금 1억원 당 고용창출 효과가 0.93명 수준인 것을 감안했을 때, 고용창출 수준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.
출처: 중소기업 R&D 지원 확대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와 과제(2017), 과학기술정책연구원